본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가 작동되어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습니다.

다목적댐 운영 정보 데이터 분석
환경

다목적댐 운영 정보 데이터 분석

최근 지구온난화, 엘리뇨현상 등 기상이변으로 인한 홍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댐은 홍수가 일어나면 물을 저장하고 가뭄이 발생할 때 저장한 물을 다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산간지역의 토사유출방지, 수위 상승 방지, 붕괴 방지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댐의 운영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파악하여 합리적으로 댐을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작성자 : 김해림

본 분석에서는 K-water에서 관리중인 다목적댐 21개 운영 정보 데이터를 통해 패턴분석, 군집분석, 예측모델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시각화 방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데이터셋 정보가 다음과 같다.

상세정보
컬럼명 설명 비고
댐이름 댐이름 예: 충주, 대청
일자/시간 년,월,일,시간 예: 202009092400
저수위 하천의 물이 가장 낮아질 때의 수위 단위: m
강우량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곳에 내린 비의 분량 단위: mm
유입량 흘러 들어오는 양 단위: ㎥/s
방류량 유출되는 양 단위: ㎥/s
저수량 모아둔 물의 양 단위: 백만㎥
저수위 하천의 물이 가장 낮아질 때의 수위 단위: 백분율
상세정보
구분 원천 데이터셋 링크 비고
수자원 https://www.bigdata-environment.kr/user/data_market/detail.do?id=baec4e70-38bb-11ea-be28-4fa0eb812a46
컬럼수 8
로우수 12658453

본 분석에서 2019년 12월 부터 2020년 8월 까지 총 9개 CSV파일을 취합해서 연결시켜 처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에서 데이터의 전체적인 특성과 분포를 살펴보고 이상치 처리, 시간별 통계 등 기법을 이용해 다목적댐 운영 정보 데이터중의 패턴과 변수 관계를 파악하였다.

댐 별 샘플개수가 다음과 같다.

댐 별 저수총량(저수량×저수율)

댐 별 지표들의 평균값이 다음과 같다.

  • 댐 별 지표들의 평균값을 통해 각 댐의 운영정보과 운영전략을 파약할 수 있다.
  • 댐 별 평균 강우량과 다른 지표를 살펴보면 평균 강우량이 많은 댐의 저수위가 상대적으로 낮고 강우량에 따라 유입량과 방류량을 제어한 것으로 알 수 있다. (남강댐, 충주댐, 대청댐 등)
  • 댐 별 평균 저수율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평균 저수량은 댐의 규모를 반영한 지표로서 댐의 저수총량을 구할 수 있다.

월 별 지표들의 평균값이 다음과 같다.

  • 월 별 차트에서 강우량, 유입량과 방류량은 3월 부터 계속 올라가는 추세이고 7월에 급격적으로 올라가고 8월에 가장 높이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댐의 운영 정보를 월 별 단위로 표시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 (각 댐의 월별 평균값)

  • 저수위: 각 댐의 월별 저수위가 큰 파동이 없다. (8월만 올라가는 추세)
  • 강우량: 12월부터 3월까지 강우량은 점차 감소된 추세이고 3월부터 8월까지는 증가된 추세로 특히 7월과 8월의 강우량이 제일 큰 것으로 알 수 있다.
  • 유입량, 방류량: 유입량과 방류량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비슷한 추세를 알 수 있고 7월과 8월만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다.

히트맵을 사용해 지표 간의 상관도가 다음과 같다.

댐의 월별 평균 유입량과 평균 방류량의 상관도가 다음과 같다.
(샘플 개수 = 댐 개수 * 월 개수 = 168)

  • 히트맵은 변수간 상관계수를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상관분석영역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
  • 두 변수의 상관계수가 클수록 상관도가 높고 반대로 작으면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알 수 있다.
  • 방류량과 유입량은 상당히 높은 상관도를 가지고(0.69) 강우량도 어느정도 유입량(0.3)을 제어한 것을 알 수 있다.

댐의 월별 평균 강우량과 다른 지표의 상관도가 다음과 같다.

  • regplot를 이용해 2개 변수의 선형관계를 표현되어 잘 fitting된 변수들의 상관도가 높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고 히트맵에서 나오는 결과를 실증된다.

댐 지역 분포

지역 별 강우량

다음은 댐의 지역 별 운영정보 그래프이고 지역정보를 통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
X축은 각 지표의 수치를 표기하고 Y축은 각 지역과 해당된 댐을 의미한다.

  • 총 21개 댐에서 3분의 1(7개) 은 경상북도에 건설되고 경상남도,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각각 3개 건설되며 남은 지역에는 각 하나만 차지한다.
  • 지역 별 강우량을 보면 충청북도의 강우량이 제일 많고 반대로 경상북도의 강우량이 제일 적다는 것으로 반영한다. (물을 공급한 작용으로 많이 건설된다)
  • 경상남도에 있는 밀양댐의 강우량은 같은 지역에 있는 남강댐 보다 5배 많고 전라북도에 있는 부안댐과 용담댐도 각각 0.16과 0.51의 평균 강우량을 반영하다.

결론 : 위의 실험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1.

    각 댐의 저수총량과 지역이 다르기 때문에 유입량과 방류량이 큰 차이가 있지만 저수위가 큰 파동 없이 계속 제어하고 있다. (댐의 월별 평균 저수위 그래프)

  • 2.

    여름철에 집중되는 한국 강우특성을 고려해 홍수기 중 강우로 댐에 유입되는 물을 최대한 저류(유입량>방류량)함으로써 하류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고 내년도 홍수기 전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도모할 수 있다.

  • 3.

    히트맵과 선형관계 그래프를 통해 유입량, 방류량은 강우량과 높은 상관도를 가지고 월별 그래프에서 매년의 7,8월에 동시에 급격한 증가추세를 볼 수 있다.

  • 4.

    지역별 분석을 통해 같은 지역에 있더라도 강우량이 지리적 위치에 따라 큰 파동이 있을 수 있고 같은 지역에 있는 댐들의 저수율은 유사한 관리전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관계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으로 생각한다.

태그 등록

특수기호 및 숫자는 등록할 수 없으며, 한 번에 하나씩만 등록 가능합니다.
공과 및 욕설, 비속어 등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태그는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맨 위로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