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이트는 자바스크립트가 작동되어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습니다.
다양한 화학물질은 산업 활동과 일상생활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사용방법에 따라 인간의 삶에 이로움을 주기도 하지만, 관리를 소홀하게 할 경우 환경오염 및 화학사고와 같은 재난으로 이어져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는 이중성을 내포하고 있다. 정부는 유해화학물질 배출량 보고제도를 통해 산업체로 하여금 유해화학물질의 환경배출량을 정기적으로 보고하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정리하여 대중에게 공개하였다. 본 분석에서 2001년 부터 2017월 까지 총 8849개 업체의 화학물질 배출량, 이동량 등 컬럼으로 구성된 데이터이다. 데이터의 전체적인 특성과 분포를 살펴보고 환경보호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다양한 시각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작성자 : 김해림
본 분석에서는 공개된 화학물질의 제조 또는 사용과정에서 환경(대기,수계,토양)으로 배출되거나 폐수/폐기물로 이동하는 화학 물질의 양에 대하여 조사한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결과 정보이고 이를 통해 상관분석, 데이터 분포를 적용한 시각화 분석을 하였다.
데이터셋 정보가 다음과 같다.
연도 별 샘플개수와 기업개수(한 기업이 여러 지역에서 건설해도 1개만 고려함)가 다음과 같다.
기업별로 1개만 고려한 이유가 새로 설립된 기업개수의 추세를 더 정확하게 나타나기 위해 설정하였다.
지역 별 샘플 개수가 다음과 같다.
수준별로 총 배출량, 자가매립량과 이동량에 대한 기업 개수가 다음과 같다.
배출량, 자가매립량과 이동량의 분포가 다음과 같다.
연도 별 평균 배출량, 매립량과 이동량이 다음과 같다.
연도 별 평균 자가매립량에서 나온 이상치에 대한 분석
연도별 총 배출량, 자가매입량, 이동량의 변화 추이가 다음과 같다.
히트맵을 사용해 지표 간의 상관도가 다음과 같다.
상관분석이 다음과 같다.
상관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상관도가 낮다는 것으로 알게 되어 데이터의 분포와 추세를 중점으로 분석을 진행해야함
결론 : 위의 실험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화학물질 기업개수 변화 추이: 연도 별 기업개수 변화 추이 그래프를 통해 경제 발전에 따라 화학물질에 관련된 기업들도 계속 증가시키는 추세이고 지역으로 보면 업체들이 경기도에서 제일 많이 건설했다.
매립방식 변화 추이: 자가매립은 사업장 내에서 관리하는 관리형 또는 차단형 매립지에 폐기물에 함유되어 매립된 방식이고 운영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으므로 2002년부터 업체들이 이런 처리방식을 거의 적용하지 않다.
화학물질 배출량과 이동량 추이: 평균 배출량과 이동량은 2001년부터 2003까지 높은 수준을 가지고 2004년 부터 새로 설립된 회사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줄어지게 된다.
배출량 및 이동량 추이를 통한 매립방식: 총 배출량과 이동량의 추세를 분석하면 기업들은 이동량을 통해 배출량을 제어하고 화학물질을 페기물처리업체를 위탁하여 처리한 방식으로 많이 선택한 것을 알 수 있다. [1]
[1] 배출량, 이동량 및 자가 매립량의 산정: https://icis.me.go.kr/prtr/dscamtExaminSystem/examinInduty.do
데이터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