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의 표는 예측을 진행한 입력 변수에 대한 상관 분석을 진행한 결과이다.
입력 변수는 DO(용존 산소량), BOD(생화학적 용존 산소량), COD(화학적 용존 산소량), SS(부유 물질량)이다.
일반적으로 생태계가 좋을 수록 DO는 상승하고 BOD, COD, SS는 하락하고 생태계의 환경이 나쁠 수록 그 반대라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유기물이 증가할 시 이를 분해하기 위해 산소가 소모되기 때문에 DO는 하락하고 BOD는 상승하기 때문이다.
먼저 예측 변수인 DO에 대한 상관 분석의 결과는 모든 변수가 DO와 거의 상관 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나마 유의미한 수치를 보이는 COD도 불과 0.23이라는 거의 상관이 없는 수치를 보이고 있다.
BOD의 경우 COD는 0.56이라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반면 SS와는 거의 상관이 없는 수치를 보인다.
COD는 DO, BOD, SS 모든 변수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예측 변수인 DO와 다른 변수 간의 관계는 그렇게 크지 않았다.